소아청소년암진료체계구축사업
- Home
- 국가암관리사업
- 국가암관리사업 소개
- 소아청소년암진료체계구축사업
배경 및 기대효과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구축 사업 추진배경
- 소아청소년암 전문인력 감소에 따른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위기
- 한정된 전문인력의 수도권 병원 집중으로 비수도권 거주 소아청소년암 환자 및 가족의 사회•경제적 부담 가중
- 높은 치료강도와 성인에 비해 많은 자원과 시간이 요구됨에도 관련 지원 열악
- 사업목적
- 소아청소년암 환자의 거주지역 내 거점병원 중심으로 지역완결형 진료서비스 제공
- 지역 내 소아청소년암 진료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강화, 의료질 향상 도모
- 지속 가능한 국가차원의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구축 중장기 계획 수립
- 기대효과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인력 확충 기반 강화 및 인력 유입 촉진
- 소아청소년 필수의료 서비스 제공을 통한 지역 간 의료격차 감소 및 의료질 향상
- 권역 내 소아청소년암관리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지역사회 역할 강화
- 소아청소년암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
주요 연혁
- - 2023. 02.
- 소아의료체계 개선대책 발표(보건복지부)
- - 2023. 04.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구축 연구(국립암센터)
- - 2023. 07.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구축방안 정책토론회 개최
- - 2023. 09.
- 강원지역 소아암 진료체계 구축협력 간담회 개최
- - 2023. 11.
- 국립암센터-강원대학교병원 업무협약(MOU) 체결
- - 2023.11.
- 대구경북 소아청소년암 개방형 진료체계 구축 간담회 개최
- - 2024. 01.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구축사업 시행
소아청소년암 거점병원 운영 사업추진체계

- (1) 보건복지부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구축 사업 총괄 관리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거점병원 선정, 운영계획 수립 및 평가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구축 사업 예산지원 및 지도•감독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구축에 관한 법령 제•개정
- (2) 국립암센터(중앙)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구축 사업 운영지원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구축 사업 모니터링 및 평가지원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거점병원 예산 교부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구축 사업안내서 개발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구축 사업 참여 인력 교육
-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구축 관련 홍보 전략 수립 및 평가
- 소아청소년암전문가자문위원회 구성•운영
- (3) 거점병원
- 권역 내 소아청소년암 환자 진단 및 치료
- 권역 내 소아청소년암 진료를 위한 치료연계 및 네트워크 구축
- 권역 내 소아청소년암 진료 인력 양성 및 교육
- 권역 내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홍보
- 사업계획서 및 사업실적보고서 제출
- 기타 소아청소년암 진료체계 구축을 위하여 필요한 업무 협조
소아청소년암 거점병원 유형별 진료체계
- 거점기관형 진료체계
- 거점병원 내 전담팀을 구성하여 소아혈액종양 전문의, 타분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및 촉탁의 협력 기반 진료체계 운영
- 거점병원을 중심으로 타분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지원)/촉탁의(전담)/소아혈액종양 전문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타분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지원)
- 일반병동(주ㆍ야간/공휴일)
- 중환자실(주ㆍ야간/공휴일)
- 응급실(주ㆍ야간/공휴일)
- 촉탁의(전담)
- 일반병동(주ㆍ야간/공휴일)
- 중환자실(주ㆍ야간/공휴일)
- 응급실(주ㆍ야간/공휴일)
- 소아혈액종양 전문의
- 일반병동(주ㆍ야간/공휴일)
- 중환자실(주ㆍ야간/공휴일)
- 응급실(주ㆍ야간/공휴일)
- 지역개방형 진료체계
- 거점병원 소속 소아혈액종양 전문의와 지역 내 타병원 소속 소아혈액종양 전문의 또는 촉탁의와의 진료 계약 기반 진료체계 운영
- 거점병원을 중심으로 개방형 소아혈액종양 전문의/개방형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거점병원 소아혈액종양 전문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개방형 소아혈액종양 전문의
- 평일 주간 입원환자 진료
- 주야간 입원(병실, 중환자실) 및 응급백업
- 종합병원급 이상
- 개방형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기본 당직의 업무 온콜 및 백업
- 평일 주간/야간 입원환자(병동 및 중환자실)진료
- 병동/중환자실 주말 및 공휴일 당직
- 병ㆍ의원
- 거점병원 소아혈액종양 전문의
- 외래 진료 및 보호자 상담
- 조혈모세포 이식
- 중환자실(주간/공휴일)
- 타지역지원형 진료체계
- 거점병원 소속 소아혈액종양 전문의를 지정된 취약지역 병원에 파견하여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소아청소년암 환자 외래진료 지원
-
소아혈액종양 전문의 있는 지역
- 주요치료
- 촉탁의(전담) : 주간/야간 진료(입원, 응급실), 야간진료
- 소아혈액종양전문의 : 이식 및 치료, 파견 외래진료(1회/1주일), 야간진료
- 소아혈액종양 전문의 없는 지역
- 외래진료 : 어린이병원, 지점 종합병원 + 재활병원 등 의료기관연계
- 취약지역 병원 타분과 전문의 : 주간/야간 진료(입원, 응급실), 연계/협진
소아청소년암 거점병원 현황
권역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
진료체계 |
거점병원 |
관할지역 |
거점기관형 |
충남대학교병원 |
충청권역(대전・충남・충북・세종) |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호남권역(광주・전남・전북・제주) |
양산부산대학교병원 |
경남권역(부산・울산・경남) |
지역개방형 |
칠곡경북대학교병원 |
경북권역(대구・경북) |
타지역지원형 |
국립암센터 |
경기‧강원권역(경기・강원) |

거점병원 기능 및 역할
- 권역 내 소아청소년암 환자 진단 및 치료
- 권역 내 소아청소년암 진료를 위한 치료연계 및 네트워크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