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 국가 암 DB를 바탕으로 다양한 암 관련 데이터를 연계하여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한 연계·개방형 데이터 융합 플랫폼 구축
- 국가차원의 암 데이터 라이프 사이클 관리체계 구성
분야

- 암진료 및 임상 데이터
- 병원진료정보(검사정보, 텍스트정보, 영상정보, 병리정보 등) 임상시험정보 - 정형 정보의 표준화
- 연구데이터(코호트, 생체시료은행)
- 조사 및 분석자료, 생체시료 및 분석정보(유전체, 단백체, 세포) 연구결과정보(실험경과, 논문, 보고서 등) - 비정형 정보의 추출
- 기관연계 데이터
- 공공기관 보유정보(건강보험공단, 질병관리본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공공 및 민간 병의원 기업 및 미디어 보유정보 - 비정형 정보의 추출
- 암발생 및 사망 데이터
- 한국중앙암등록자료, 건강보험공단 암수진자 및 중증암환자 등록자료, 통계청사망자료, 병원 의무기록 조사 - 데이터 연계 및 분석
- 국가암관리사업 데이터
- 암환자서비스 이용자료(검진, 의료지 지원, 호스피스 완료의료, 정보제공 및 상담 교육 등) 전문인력, 컨텐츠 인프라 데이터베이스 각종 조사 모니터링 자료
- 국가 공공 데이터
- 한국중앙암등록자료,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청 데이터, 보건의료 중심 암 데이터 - 모델링
추진계획

- 국가 암 DB 구축
- 국가 암 DB자료원 확보 및 연계, 국가 암 DB품질관리체계 구축
- 암빅데이터 서비스 확대
- 암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활용메뉴얼 개발, 암예방, 검진, 치료, 재활 등 서비스 활용 모델 개발
- 전문인력확충
- 암빅데이터 전문인력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암빅데이터 R&D 확대
- 법령 및 체계 정비
- 암관리법 개정 추진, 국가암데이터센터 설치
최종 수정일 : 2022. 0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