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생물학연구부
- Home
- 연구소
- 암생물학연구부
- 암의 발생, 전이, 재발을 분자적 수준에서 연구
- 발암전이기전 및 DNA손상, 불안정 염색체, 세포주기조절등 연구
- 암유전자 및 발암모델 연구
* 암 미세환경: 암조직내의 암세포가 아닌 각종 세포 및 암세포성장촉진 단백질들을 말함.
여기에는 암 주변부 기저세포 (stromal cells), 섬유아 세포 (cancer associated fibroblast),
면역세포 및 혈관 림프관 조직과 세포외 기질 (extracellular matrix)이 포함됨.
최종 수정일 : 2019.04.29
연구진 소개
이름 | 주요 연구분야 |
---|---|
김수열 | 암의 생화학 및 분자 생물학 연구 |
홍경만 | 암의 분자적 진단, 단클론항체 제작 및 조직면역화학염색 |
곽호신 | 뇌종양, 척추 및 척수종양, 뇌전이암, 뇌척수액 전이암, 두개저부 수술 |
이창헌 | DNA 손상에 대한 암세포 신호전달체계 연구 |
김경태 | 암세포생물학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들의 발암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및 이를 통한 항암 타켓발굴 |
정희선 | 암 대사작용과 autophagy기전연구를 통한 항암 표적경로 규명 |
배영기 |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발암기전 연구 및 암모델동물 개발 |
이호 | 암모델 마우스 개발 및 분석 |
김종헌 | RNA결합-수식단백질과 종양RNA 상호작용에 의한 암화기전 연구 |
장현철 | 희귀/난치암 환자 치료를 위한 Cancer Stemness 연구 |
이경용 | |
전윤 | 마우스 유전자 적중을 이용한 발암모델 개발 |
RNA결합-수식단백질과 종양RNA 상호작용에 의한 암화기전 연구
- 종양마이크로RNA 생성-분해 관여 RNA결합-수직단백질의 암화과정 기능 규명
- RNA결합-수직단백질이 종양RNA의 활성변화-암화과정에 미치는 영향 추적
- C형 간염바이러스 번역-복제와 마이크로RNA, RNA결합-수직단백질간 상호작용 연구
- 종양RNA 특이적 sensor를 이용 저해제의 대규모 탐색 및 소분자화합물의 repositioning
- 뇌척수전이암 마커발굴을 위한 exosome 종양RNA profiling
- Epitranscriptomics 관여 신규분자 발굴 및 암화과정에서 관련 signaling 연구
- 종양마이크로RNA 생성-분해 관여 RNA결합-수직단백질의 암화과정 기능 규명
- RNA결합-수직단백질이 종양RNA의 활성변화-암화과정에 미치는 영향 추적
- C형 간염바이러스 번역-복제와 마이크로RNA, RNA결합-수직단백질간 상호작용 연구
- 종양RNA 특이적 sensor를 이용 저해제의 대규모 탐색 및 소분자화합물의 repositioning
- 뇌척수전이암 마커발굴을 위한 exosome 종양RNA profiling
- Epitranscriptomics 관여 신규분자 발굴 및 암화과정에서 관련 signaling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