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소

암발생전이연구과

  • Home
  • 연구소
  • 암생물학연구부
  • 암발생전이연구과

임무와 기능

  • 정밀 의료 구현을 위한 다양한 가설 기반 암 발생 전이 기전 연구
  • 유전자 조작 동물모델 제작 및 활용을 통한 표적 발굴 및 신약 개발 in vivo 플랫폼 개발
  • 난치성 암종들의 발암 및 전이 기전 이해를 통한 바이오 마커 발굴 및 신 치료법 개발
단체 사진

연구개요

연구 관련 이미지
박상재
임무 및 기능(연구 목표)
  • 췌담도계암(췌장암, 담도계암, 담낭암)의 발생 및 전이 과정의 이해를 바탕으로 조기진단 및 예후예측과 관련된 바이오마커 발굴, 신치료법 개발
  • 췌담도계암 수술후 예후 향상
연구개요(연구 분야)
췌장암 환자의 유전체 정보기반 치료반응 예측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췌장암 환자의 치료반응 및 예후예측 관련 임상-유전체 지표 연구
  • 췌장암 조직에서 NGS 기반 유전체 분석을 통하여 치료반응 및 예후예측 관련 지표 연구
  • 향후 췌장암 liquid Biopsy에 사용 가능 후보 유전자 발굴
  • 향후 췌장암 정밀의학 적용 가능 후보 유전자 발굴
임상 연구
  • 영양불량 췌담도계암 환자에서 수술 전 영양지원이 미치는 영향
  • 췌담도계암 수술 후 단기, 장기 성과 향상 전략
  • 췌장 절제 수술이 예정된 빈혈환자에서 정맥 철분 주입의 임상적 영향
연구 관련 이미지
곽호신
임무 및 기능(연구 목표)
  • 뇌암 (glioma) 항암 및 방사선 치료율 향상을 위한 기초 및 중개연구
  • 뇌척수 전이암의 조기 진단 및 치료반응 모니터를 위한 바이오마커 개발
  • 뇌척수 전이암의 신치료법 도입을 위한 druggable target발굴 및 병태생리 연구
연구개요(연구 분야)
뇌암 (glioma) 항암 및 방사선 치료율 향상을 위한 기초 및 중개연구
  • 항암 및 방사선 치료시 암세포 사멸기전 연구 연구 관련 이미지
  • 개인의 항암제 감수성 차이에 미치는 분자생물학적 기전연구
  • 뇌암세포주에 방사선 조사시 관찰되는 자가탐식 (autophagy)의 조절을 통한 방사선 감수성 연구 연구 관련 이미지
뇌척수 전이암의 조기 진단 및 치료반응 모니터를 위한 바이오마커 개발
  • 뇌척수액의 대사체 분석을 통한 뇌척수액 전이의 조기 진단법 개발 연구 관련 이미지
  • 뇌척수액내 엑소좀 (exosome)정량분석을 기반으로 한 치료반응 지표 개발
뇌척수 전이암의 신치료법 도입을 위한 druggable target발굴 및 병태생리 연구
  • 뇌척수액내 암세포 유래 genomics profiling 연구 관련 이미지
  • 뇌척수액 미시적 지표측정을 통한 biostatistical 전이 예측모델의 개발 연구 관련 이미지
김경태
임무 및 기능(연구 목표)
  • 염색체 구조 이상 유도 유전자들의 암화 과정 역할 규명 및 항암 타겟 가능성 탐색
연구개요(연구 분야)
세포 분열기 조절 유전자 중 암화 과정 관련 유전자를 동정하고 이들의 기전 확인 및 새로운 항암 타겟 물질을 도출함.

염색체의 구조 이상이 생기면 구조적 불안정성 때문에 암 억제 유전자나 발암 유전자들의 변화에 영향을 미쳐 암화 진행을 촉진할 것으로 가설함. 염색체 구조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세포 분열기 stress에 대해 암세포에서는 반응성이 떨어지고 정상세포에서만 반응성이 큰 차이를 보이는 유전자를 선별하여 새로운 암화 관련 타겟 유전자로써 기능을 검증함. 연구 관련 이미지 가설: 염색체 구조 이상에 의한 암화 과정 관련 유전자가 존재할 것임.
연구 내용
염색체 구조 이상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기능을 세포 실험과 동물모델을 통해 확인하여 염색체 구조 이상이 암화 과정에 미치는 역할을 이해하고 새로운 항암 물질 개발의 기초를 확보함.

연구 중에 있는 후보 유전자는 염색체 응축 인자 복합체의 보조 단백질인 NCAPG2 임.

연구 관련 이미지
염색체 응축 복합체 보조 단백질 NCAPG2 가 염색체 전체에 퍼져있고 특히 동원체에 강하게 위치함. 연구 관련 이미지 NCAPG2 발현 억제에 의한 염색체 적도판 배열 이상
연구 관련 이미지
NCAPG2와 PLK1의 기질 인식 부위 구조



NCAPG2는 염색체 응축인자 복합체로써 염색체 전반에 위치할 뿐 아니라 염색체와 방추사가 결합하는 동원체 부위에 강하게 위치함. 이러한 동원체 위치의 NCAPG2는 PLK1이라고 하는 세포 분열기 특이적 인산화 효소의 방추사와 염색체 연결 기능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함. NCAPG2와 PLK1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새로운 항암 억제 물질을 개발 중임.

NCAPG2 이외에도 정상세포에서 세포 분열기 억제 약제에 의해 반응성을 보이지만 암세포에서는 반응성이 약한 유전자들의 발암과정에서의 역할을 knockout mice를 이용하여 연구하고 있음.
이호
임무 및 기능(연구 목표)
  • 동물모델 시스템 활용 치료 표적 유전자 발굴 및 신약개발 플랫폼 활용 암 모델 동물 개발
연구개요(연구 분야)
  • 새로운 치료 표적 유전자의 유전자 조작 서류의 제작 및 표현 형질 분석
  • 발암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유전자의 변이 유전형을 모방하는 유전자 조작 서류의 제작을 통한 신약개발 플랫폼 활용
연구 관련 이미지
김종헌
임무 및 기능(연구 목표)
  • 암에서 RNA 기반 전사후 조절기전(post-transcriptional control) 연구를 통한 정밀의료 구현
연구개요(연구 분야)
연구 배경
  • 암의 발생, 악성화, 전이, 표준치료 불응에 있어서 RNA 중심의 전사후 조절이 매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됨.
  • 다양한 RNA결합-수식단백질, 마이크로RNA, lncRNA들이 암의 발생, 악성화, 전이, 표준치료 불응 및 암세포의 stem-like property 획득에 대한 기여 가능성이 광범휘하게 대두되고 있는 상황임.
  • 암세포의 stem-like property 획득 및 암화 미세환경 적응을 저지할 수 있는 활성저해제 개발에 있어서 기존의 연구-개발과 다른 접근법 채용가능.
  • 종양마이크로 RNA의 경우 전사 후 조절 RNA결합-수식단백질의 발굴, 특이성 검증, 조절기전 연구를 통해 신개념 표적발굴 및 치료제 개발이 가능.
  • 현 RNA-based 마이크로RNA 표적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종양마이크로RNA 특이적 RNA결합-수식단백질을 targeting함으로서 효과적인 저해법 연구 가능.
  • 암을 유발하는 microbe(암유발 바이러스, H. pylori 등)과 host cell(정상 인간세포-조직)에서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RNA 중심의 전사후 조절 연구를 통해 신개념 표적 발굴 및 치료제 개발이 가능.
연구 관련 이미지
연구 내용
  • 암세포주, 환자시료, 암줄기세포(cancer stem cell)를 이용 RNA를 중심으로 전사후 조절기전(post-transcriptional control)을 연구함.
  • 종양-종양억제 마이크로RNA의 turnover, RNA결합-수직단백질에 의한 발암기전을 연구함.
  • 종양마이크로RNA 생성 및 종양RNA결합-수직단백질의 기능을 조절하는 소분자 저해제의 대규모 탐색.
  • 간암을 유발하는 C형 간염바이러스(HCV)의 복제와 마이크로RNA, RNA결합-수직단백질 간의 상호작용 연구 및 소분자 저해제 탐색.
  • 뇌척수액 전이암의 뇌척수액(CSF)에 존재하는 small RNA의 profiling을 통한 항암표적 및 마커발굴.
  • Mouse embryonic stem cell (mES)에서 마이크로RNA의 turnover 기전 연구.
장현철
임무 및 기능(연구 목표)
  • 암 줄기세포성 이해를 통한 정밀의료 구현 초석 제공
연구개요(연구 분야)
정밀의료 구현을 위한 암 줄기세포성 연구
연구 배경
  • 암 기원세포 (cancer cell or origin)는 그 유래가 줄기세포이거나, 분화되었던 세포가 역분화를 통해 줄기세포성 (stemness)을 지니게 된 결과임.
  • 표준 항암요법후 항암제 내성을 띠고 살아남아 전이/재발을 일으키는 세포도 줄기세포성을 지니고 있음
  • 표준 항암요법에 대한 반응이 환자마다 다른 이유는 환자마다 줄기세포성을 띤 암세포가 다르기 때문임.
  • 정밀의료 구현을 위해서는 환자 개개인의 줄기세포성을 띤 암세포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어떻게 제어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연구 관련 이미지
연구 내용
  • 각 조직 (Organ)별 정상 및 암 줄기세포 배양 방법 확립
  • 정상 및 암 줄기세포의 줄기세포성 유지 네트워크 규명
  • 줄기세포 핵심인자들 활성 조절 기전 연구
  • 줄기세포 핵심인자 제어 물질 발굴
  • 줄기세포 핵심인자 제어를 통한 암 줄기세포성 조절 연구
  • 줄기세포 핵심인자 제어를 통한 항암 신약 발굴/개발

최종 수정일 : 2017.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