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종 암의 전임상 연구 및 전이, 재발기전 연구
- 항암제 내성의 원인과 발생 기전 연구
- 치료 내성 및 암 재발 기전 연구를 통한 새로운 타겟 발굴 및 치료법 개발
- 각종 암의 유전체, 단백질체, DNA 및 RNA 기반 연구
- 분자 분류 및 나노치료법 연구
- 순환종양세포, 순환종양 DNA, 엑소좀 등 액체생검 연구
- 전통의학의 분자생물학적 항암 근거 및 표준치료 병용 연구
- 개체수준의 발암연구를 통해 예방, 진단, 타겟 발굴, 치료제 개발의 기초 제공
- 암 연구 모델 제작, 응용 및 암발생 원인 유전자 기능 규명
- 암중개연구과
- 바이오마커, 항암내성, 암유전체,암전이,통합적정보분석,병용치료,스크리닝시스템,동물모델
- 생체표지자연구과
- 바이오마커,암유전체,암단백체,암대사체,나노이미징,나노센터,항암치료,동물모델
- 비교생명의학연구과
- 암전이,함암내성,동물모델,암혈관형성,간이식,암미세환경,전통의학적용,함암타겟발굴
임무 및 기능(연구 목표)

- 기초연구와 임상연구의 다학제적 협동 연구를 통해 암 치료 타겟 및 암 진단과 예후예측 마커를 발굴하고 임상에 적용하여 암 치료 정밀의학 구현의 근간을 제공함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고 암환자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함

- 발암기전
- 암유전자, 암 억제유전자, 유전자 돌연변이, 암동물모델
- 함암제 저항성
- 항암내성인자와 유전체, 스크리닝 시스템, 표준치료 불응성, 병용치료 효용성, 항암내성 모델
- 암전이, 암재발
- 암미세환경, 전이 동물 모델, 세포운동/침윤성, 세포외기질 생성, 순환종양세포 전이 특성
- 치료 진단 예후 예측
- 암유전체, 암단백체/암대사체, 혈액유래 바이오마커, 나노바이오이미징/센서, 멀티오믹스데이터마이닝
- 암 발생 및 전이와 치료 내성의 원인 유전자의 기능 규명, 치료 타겟 및 치료제 개발, 진단 및 예후 예측인자를 발굴하여 실용화 및 임상 적용

- 기초분야 발견 질문 문제점
- 분자모델:발암/악선화 분자 기능
- 세포모델:민감세포,저항세포+독소루비신
- 선충 암모델:정상,종양
- 전이/내성 마우스 모델
- 임상분야 발결 질문 문제점
- 진단/예측
- 함암내성
- 오믹스/생체표지자:Bioinformatics, Genomics, Microarrays, mRNA, Proteomics, Mir-RNA, Epigenetics, Metabolimics
- DNA, RNA, Proteins, Metabolites
- 나노 이미징/센서
- 약물 스트리닝
- 분자 (DNA, RNA, metabolites등을 포함), 세포, 동물 수준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차원의 전문적인 기초 연구자와 임상연구자 간의 소통과 협업을 통해 기초의 연구 결과를 임상에 적용하고 임상의 질문을 기초로 풀어 암의 악성화를 극복하고 진단과 예후 예측을 위한 생체표지자를 발굴하고자 함.
- 이행성연구부는 기초의 질문과 발견, 임상의 발견과 질문이 서로 접목되어 기초연구가 실용화 되고 임상연구가 기초연구로 심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의 기초연구자와 다양한 임상의로 구성되며 위와 같이 특성에 따라 세 연구과로 구성됨
- 이행성연구부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암 연구 과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자 구성됨
· 암 발생 및 전이와 치료 내성의 원인을 분자적 차원에서 발굴
· 원인 유전자의 기능과 원인 유전자의 조절 기전을 세포와 동물모델 수준에서 규명
· 원인 유전자와 조절자의 임상적 유용성 타진
· 오믹스 기반 통합분석에 의한 임상에서 발견한 원인유전자의 분자적, 세포적, 개체적 기능 규명
· 기초와 임상에서 발굴한 후보에 대한 항암 타겟 및 진단/예후의 마커 유용성 규명
최종 수정일 : 2019.04.29